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 버추얼박스의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 엔지니어링 기술/1. 버추얼박스 설치 및 VM생성 2024. 9. 18. 03:52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버추얼박스의 VM설정 중 네트워크 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은 종류가 확인됩니다.

    VM설정 중 네트워크 부분

    - NAT: 외부의 1개 아이피로 내부에서 나누어 사용하고, 인터넷 되는 네트워크
    - 어댑터에 브리지: 아래에 별도로 다시 설명 하겠습니다.
    - 내부 네트워크: VM끼리 통신 가능하지만, 나의 윈도우(호스트) 와는 통신안됨.
    - 호스트 전용: VM끼리 되고, 나의 호스트와도 통신 됨.
    - 일반드라이버: GNS3 같은 프로그램에서 버추얼박스 연결해서 통신할때 설정할 수 있음.
    - NAT 네트워크: NAT와 같은것인데 사용자가 IP를 설정해서 할 수 있음.
    - 클라우드 네트워크[실험적]: 아마존, 구글클라우드같은것과 연동할때 사용됨
    - 연결되지 않음: 스위치 없어서 꽂을대가 없는 상태 - 말 그대로 연결안시켜줌.

    이 중에서 어댑터에 브리지에 대해 설명을 다시작성합니다.

    버박 네트워크

    이 그림이 설명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버추얼박스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각각 스위치(또는 허브)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댑터에 브리지의 의미는 예로 나의 무선랜에 브릿지를 걸면, 나의 무선랜을 유선랜처럼 VM은 설정 하지만, 물리적인 나의 무선랜을 벗어나 공유기에게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붙은 것 처럼 동작하게 됩니다. 공유기에서는 그저 나에게 새롭게 연결된 장치가 하나 추가된 것처럼 인식이 되는것입니다. 가짜이지만 진짜처럼 말입니다.

    이 부분을 알고 가셔야 나중에 IP충돌이나, IP가 안받아와진다거나 해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설명이 조금 부족한 감이 있지만, 이정도면 충분히 이해가 되시리라 믿지만, 그렇지만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로 질문을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리눅스 엔지니어링 기술 > 1. 버추얼박스 설치 및 VM생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VM생성  (2) 2024.09.18
    1. 버추얼 박스 설치  (0) 2024.09.18
Designed by Tistory.